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도막식교량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실링재의 설계와 시공>
    카테고리 없음 2023. 1. 4. 13:20

     

    [도막식교량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실링재의 설계와 시공>

     

    안녕하세요. 도막식교량방수 로드씰입니다.

     

     

    우선 줄눈의 모양과 구조에 대해 먼저 도막식교량방수 로드씰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동에 따른 줄눈의 구조는 여러 가지 고장 중에서 특히 피로 파괴를 동반하는 고장은

    접합부에 생기는 거동의 영향이 큽니다.

    따라서 실링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워킹 조인트와 논워킹 조인트의

    구분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워킹 조인트는 무브먼트가 큰 줄눈이며, 논워킹 조인트는 무브먼트가 생기지 않던지

    무브먼트가 가장 작은 줄눈입니다.

     

     

    워킹 조인트는 2면 접착, 논워킹 조인트는 3면 접착의 줄눈 구조로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2면 접착은 마주보는 피착재의 양면을 접착시킨 것으로써 줄눈이 벌어져도

    실링재는 무리없이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파단을 일으키지 않지만

    줄눈 바닥에도 접착시킨 3면 접착으로 하면 줄눈에 

    무브먼트가 작용하는 경우, 실링재에 국부적으로 큰 힘이 작용하기에

    파단되기 쉽습니다.

     

     

    그렇기에 커튼월 등의 워킹 조인트는 줄눈 바닥에 접착하지 않도록

    백업재, 본드 브레이커를 사용해 2면 접착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편, 콘크리트 외벽의 줄눈처럼 무브먼트가 거의 없는 논워킹 조인트에서는

    줄눈 바닥에도 접착시켜 3면 접착으로 해 확실하게 도막식교량방수가 되도록 합니다.

     

     

    본드 브레이커나 백업재는 실링재와 잘 접착되지 않고 물을 흡수하거나

    변질해 실링재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선정해야 합니다.

    보통 폴리에틸렌계나 합성 고무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백업재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나 각형이며, 본드 브레이커의 형상은 테이프 형태입니다.

     

     

    수밀 방식에 따른 줄눈의 구조로는 줄눈의 수밀성이 이것들의 힘의 일부분을

    컨트롤하는 것에 의해 확보될 수 있습니다.

    또 줄눈 부분에서 차단하는 대상으로 물, 공기, 물과 공기의 양쪽 어떤 것인지를

    명확히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줄눈의 수밀 방식은 맞댄 줄눈 방식과 오픈 조인트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맞댄 줄눈 방식이 실링재를 충전하는 것에 따라 틈새에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라면, 오픈 조인트 방식은 물을 이동시키는 힘의 압력차를 

    줄이는 것으로 물의 침입을 방지합니다.

     

     

    이렇게해서 지금까지 도막식교량방수 로드씰과 함께

    실링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더욱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