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교량복합식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방수 시공과 대상이 되는 물의 종류>
    카테고리 없음 2022. 12. 5. 11:07

     

     

    교량복합식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방수 시공과 대상이 되는 물의 종류>

     

    안녕하세요. 교량복합식방수 로드씰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방수 시공과 대상이 되는 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교량복합식방수 로드씰과 시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어붓기 면은 방수상 결함 부위가 되기 쉬워

    가능한 한 생기지 않도록 합니다.

    만약 부득이한 경우에는 수평 이어붓기로 하고 수직 이어붓기는 피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으면 소요 슬럼프를 얻기 위한 수량이 증가되며

    응결 시간도 빨라지기에 건조 수축량이 커집니다.

     

     

    이어 붓기의 부어넣는 시간이 길어지면 콜드 조인트 등의 결함부가

    생기기 쉬워 타설 시간은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좋으며 시멘트의 수화를 충분히 진행시켜

    건조 수축이 작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후 충분한 습윤 양생을 합니다.

     

     

    이상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에서 누수관리 균열은 이론적으로 관리할 수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배며에서 작용하는 수압, 수량, 구조체의 거동 영향에 의해

    고수압에서 관통되어 있는 균열에서는 누수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야 합니다.

    그렇기에 콘크리트 자체의 수밀성에 의존하는 것보다

    철저한 교량복합식방수 설계가 뒤따라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교량복합식방수 로드씰과 방수 대상이 되는 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축물에는 다양한 물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물은 부재 사이의 틈새, 건축 재료를 통해 내부로 침입하려 합니다.

    그 결과 누수, 자재의 부식, 곰팡이 발생 등 각종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건축물에 있어 지진, 태풍, 화재 등의 과격하지만 단기적인 재해를

    제외하면 대부분은 어떤 형태로든 물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비가 많은 나라로써 방수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내구성의 면에서도 물에 의한 열화 부하가 크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강수량

     

    강수란 지표에 도달하는 물을 말하며 그 대부분은 비, 눈입니다.

    우리나라는 강수량이 많아 계절적으로 연평균 강우량의 50~60%가 여름에 내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실제 건축물에서 배수, 방수 측면에서 보면

    단기간의 강우량인 강우 밀도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람이 불 때는 벽면에도 비가 뿌려집니다.

    이것은 수직면 우량이라고 하는데 외벽에서는 수직면 우량이 더 중요합니다.

    이것은 정상적으로 측정되고 있지 않아 추정에 의존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풍속이 커지면 수평면보다 벽면에 뿌려지는 우량이 많아집니다.

     

     

    그 다음으로 교량복합식방수 로드씰과 알아볼 사항은 대기중의 물입니다.

    대기 중에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여름에 고온 다습하기 때문에 공기 중의 습도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고온시에 높은 상대습도가 나타나며

    특히 남부 지방으로 갈수록 그러한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대기 중의 물은 두 가지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흡습성 재료에 미치는 부분의 영향입니다.

    건축 재료의 함습률은 상대 습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목재, 시멘트계 재로 등의 건축 재료는 높은 흡습성을 갖습니다.

    습도가 높은 공간에서는 이러한 재료들이 상당량 수분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그로 인한 문제점을 일으키게 됩니다.

    예를 들면 곰팡이 등의 발생 원인이 됩니다.

    또 대부분의 건축 재료는 다습시에 팽창하며 건조시에 수축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신축에 따른 거동, 부재간의 벌어짐 등 다습시, 건조시의 습도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의 응축, 소위 결로의 문제입니다.

    물로 인한 건축물 고장의 주원인은 바로 이 결로수와 빗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기 중에 갖고 있을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은 한계가 있으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그 양은 줄어듭니다.

    따라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벽면, 급배수관 등에 닿아

    차가워져 노점 온도 이하로 되면 수증기가 표면에서 물로 맺힙니다.

    이러한 현상을 결로라고 합니다.

     

     

    최근 건축물은 고기밀화되는 경향이 있어 환기량이 부족하기 쉽기 때문에

    결로로 인한 문제 발생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물을 많이 사용하는 공간에서는 습도가 높아지기 쉬워 결로 방지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렇게해서 지금까지 교량복합식방수 로드씰과 함께

    방수 시공과 대상이 되는 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더욱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