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도막방수, 우리의 안전을 지켜주는 시공입니다.
교량도막방수, 우리의 안전을 지켜주는 시공입니다.
안녕하세요. 교량도막방수 로드씰입니다.
우리의 안전을 지켜주는 교량도막방수의 시공은
교량 뿐만 아니라 우리의 안전에도 보장을 받기 위해
반드시 진행해야 하는 시공이라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교량도막방수 로드씰과 함께 방수층의 요구 성능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방수성과 수밀서아 내화성과 방화성, 내풍압성, 거동추종성, 습기 처리,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오존성, 내자외선성 등이 있습니다.
방수성은 교량도막방수 시공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방수층은 물을 투과시키지 않는 피막을 형성해야 합니다.
즉 수밀성을 의미하며 현재 방수 공법의 대부분은 수밀성이 높은
멤브레인 방수층입니다.
하지만 멤브레인 방수층은 불투수성 피막은 형성하지만 도막 방수를 제외하고는
제한된 크기, 방수 재료를 연속적으로 이음해 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어
접합 부분의 수밀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다음으로는 내구성입니다.
필요한 상황에 따라 전체, 각 부위의 목표치가 있는 내구성에도 얼마나 유지할지 등의
기간을 알아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량도막방수 공법에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 등의 불연 재료를
누름 층으로 사용하는 보호 누름 공법과 방수층을 외기에 노출시키는 노출 공법이 있습니다.
보호 누름 공법에는 방화성의 문제가 없지만 지붕 등에서의 노출 공법에는
유기질계 방수 재료가 대부분이기에 연소될 우려가 있어
내화성이 있는 재료를 선정해야 합니다.
교량도막방수 재료에 요구되는 접착성이란 지붕면에 부압이 가해질 때
지붕 재료가 떠오르는 현상에 대한 저항성을 말합니다.
따라서 바탕재, 접한 층과의 접착성이 문제가 되고
바탕재는 접착에 견디는 강도가 요구됩니다.
내풍압성은 바탕재의 재질에도 영향을 받아 콘크리트처럼 표면이
방수층 접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단단해야 하며 ALC 패널의 표면처럼
표면 상태가 취약한 경우 표면 강화 처리를 해야 합니다.
또한 철판처럼 표층부로 침투하지 않는 표면 상태의 경우에는
부착면이 큰 고분자계 접착제를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탕재의 움직임이 교량도막방수 재료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 처리에 실패하면 큰 결함이 발생합니다.
바탕재의 거동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영구 거동은 건조 수축 균열이나 구조 균열과 같은 정적인 움직임을 말하며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교량도막방수 재료는 무절점 인장력에 대한
가소성 변형이 요구됩니다.
동적 거동은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수축, 팽창의 반복으로 열이나 온도에 대한 거동,
건습의 반복에 따른 거동을 말하며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교량도막방수 재료는
탄성 변형이 요구됩니다.
이에 대한 대책은 예상되는 거동을 파악해 그 거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입니다.
이렇게해서 지금까지 교량도막방수 로드씰과 함께
방수층의 요구 성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더욱더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