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량방수 도막식 시공시 고려사항 교면방수 하부층 공법

로드씰 2023. 6. 13. 11:21
교량방수 도막식 시공시 고려사항 교면방수 하부층 공법

안녕하세요 교량방수 로드씰입니다.
교량 하부의 방수시공시 고려해서 시공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교면포장 하기에 앞서 교량 상판으로 설치되는 방수층은 바닥판으로

우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설치하는 층으로써 바닥판의 부식을 예방하고 

방수층과의 접착이 뛰어난 접착층(프라이머) 위에 복합식 또는 도막식

교량방수 자재를 사용합니다. 

 

 

교량의 형식과 모양에 관계없이 설계 교통량이 8.2톤 등가단축하중 기준으로

1000대/차로/일 이하일 경우나, 비교적 도로교 연장이 짧은 라멘교 또는

슬래브일 경우 복합식과 도막식 교량방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교량 설계 시  일일 통행량을 계산하여 그에 따른 공사가 진행될 것인데요

설계 교통량이 8.2톤 등가단축하중 기준으로 1000대/차로/일 이상으로

교량 연장이 100m 이상일 경우에는 교량방수에도 

이중 또는 고강도 공법으로 교면방수 시공 설계해야

방수층을 설치하는 효과 및 성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교면방수가 모든 교량에 획일적 공법으로 적용할 수 없는 이유이며

현장의 상황 및 통행량을 고려하여 교량의 특성에 맞게 적합한

교량 방수공법으로 시공 설계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것입니다. 

 

따라서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100m 이상의 교량에는 우수가 

침투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 1.5층과 2층의 교량방수로

하부 작업계획을 세우셔야 합니다.

 

도막 교량방수 층의 파손이나 포장체를 통해 우수 침투와

염화물로 콘크리트 바닥판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먼저 기준 이상의 방수재 사용이 권고되고 있습니다. 

 

 

교량방수 도막 또는 복합 공법에서 방수재는

반드시 KS F 4932 교량용 제품으로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바닥판 부식 방지에 특화된 제품으로써 

방수력 및 접착력, 내화학성, 내균열성,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등

방수재로써 필요한 성능을 고루 갖춘 교량방수재 임을 인정받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면방수 품질 만족을 위해서는 엄격한 기준에 통과된 교량용 방수재 사용과

여기에 시공 시 기포 생성으로 인한 블리스터링 억제 및 

침투수의 유도배수를 위한 유공관 설치로 방수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숙련되면서 노련한 작업력이 필요합니다. 

 

 

 

교량방수는 반드시 전문 시공 업체를 통한 작업으로 현장 상황과

공법에 대한 높은 이해력이 바탕되어 진행되어야 합니다.

하자나 결함이 없는 안전한 상태에 이르길 원하신다면

신뢰받는 교면방수 시공 업체를 통해 이미 검증되어 고품질 교량 방수 로

평가 받는 기술력을 적용하시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교량방수 시공 전문 기업 로드씰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