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면도막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교면의 방수>
[교면도막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교면의 방수>
안녕하세요. 교면도막방수 로드씰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교면의 방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콘크리트 교량 구조물의 경우에 내구성을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인
교면도막방수는 주행 차량에 의한 반복 하중과 진동, 충격과 전단 등의
역학적 작용과 온도 변화, 수축 팽창, 콘크리트의 열화에 대한 수분의 영향,
동절기 제설제인 염화물의 영향 등 방수재 성능 뿐만 아니라
여러 열악한 복합적인 요소를 참작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그렇기에 교면도막방수 공법과 방수재는 다양하지만
교면 방수에 필요한 기본적인 성능은 시공 시의 작업성과
콘크리트, 아스콘과의 접착성, 사용시간과 자연환견에 대한 내구성 등이
요구되기도 합니다.
교면도막방수 재료에 요구되는 성능은 총 5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우수한 방수 성능이 제일 중요한데, 불투수성이라 보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수분을 차단하는 방수 기능과 제설제, 바닷물, 산성비 등의 알칼리,
산에 대해 내구성이 있어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우수한 접착성인데 강성의 콘크리트와 연성의 아스콘 사이에
놓이는 교면도막방수 층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 때문에
방수층에 전달력을 가하기에 방수 재료는 콘크리트와 아스콘 모두에
좋은 접착력을 지녀야 합니다.
또한 균열에 대한 추종성으로 교량 슬래브의 수축, 팽창에 의한
균열 폭의 변화를 교면도막방수 재료가 접착된 상태로
견뎌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교면 아스콘 포장 시 교면도막방수 층의 안정성으로
시공 후 아스콘 도포 시 아스콘 운반 차량과 포장장비에 의한
포장층 훼손 예방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하며
차량 제동으로 인한 전단 저항성으로 차량 제동시 윤하중으로 인한
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가열식 도막 방수는 타이어 고무 분말과 SBS, 아스팔트 등의 합성물로
제조한 가열식 고분자 개질아스팔트계 방수재를
교량 슬래브 표면에 도포한 후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해
방수층을 보호하는 교면도막방수 공법입니다.
기존에는 교면용 품질 기준으로 KS F 4931(시트식), KS F 3211(도막식)에서
KS F 4932(도막식) 품질 기준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참고해주시길 바라며
변경된 기준을 로드씰은 유일하게 합격되었다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RS강화펠트 기준으로 교면도막방수 시공을 진행하면
먼저 바탕면을 청소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방수재를 도포합니다.
그 이후로 RS강화펠트를 부착하면 시공이 완료됩니다.
프로텍션 보드를 이용한 교면도막방수 시공은 바탕면을 청소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방수재를 도포합니다.
그 이후로 프로텍션보드를 부착하면 공사가 완료됩니다.
우드칩 시트는 프라이머와 슈퍼이지씰의 상단에 깔려지며
아스콘 포장층의 바로 아랫층에 깔린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바탕면을 청소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교면도막방수 재료를 도포하고 우드칩 시트를 부착하면 공사가 완료됩니다.
마지막으로 슈퍼이지씰을 활용한 교면도막방수 시공에 대해
알아보자면 바탕면을 정리하고 청소한 다음 프라이머를 도포합니다.
그 이후로 방수재를 도포하고 방수용 보호재를 부착하면 완료됩니다.
이렇게해서 지금까지 교면도막방수 로드씰과 함께
교면의 방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더욱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