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면도막식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바깥 방수>
[교면도막식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바깥 방수>
안녕하세요. 교면도막식방수 로드씰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바깥 방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멤브레인 교면도막식방수는 구조체의 표면에 불투수성 피막을 형성해
방수하는 것을 말하고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방수, 도막 방수로 분류됩니다.
지하 건축물의 방수에서는 지하수의 수압이 실리는 쪽에 방수를 하는
바깥 방수 공법이 이상적인 공법입니다.
바깥 방수 공법은 벽면만을 방수해 바닥으로부터 물은 피트로 처리하는 공법과
밑바닥 부분, 벽면 모두를 방수하는 공법이 있습니다.
바깥 방수 공법 선정에서 고려할 조건은 재료 성능과 시공 적성의 두 가지 입니다.
재료별 방수 공법에서 아스팔트 교면도막식방수는 주로 시공성을 고려해
개량 아스팔트 루핑에 의한 상온, 토치 공법이 주종입니다.
주요 공법은 열, 상온, 토치 공법으로 나뉩니다.
열공법은 아스팔트 루핑을 열 아스팔트에 의해 적층하는 공법으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적층을 통해 줄눈의 신뢰성이 높고 실적이 많습니다.
하지만 지하 방수로는 벽면에서의 작업성이 나쁘고 사용하는
열 아스팔트의 위험성이 크며 바탕의 습기로 인해 적층 불량을 일으킬 수도 있어
지하 방수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상온 공법은 점착층 붙임 개량 아스팔트 루핑을 점착층을 통해
바탕을 붙이는 공법입니다.
이 공법의 특징은 내후성, 내구성이 비교적 우수하고 바탕 거동 추종성이 좋으며
취급이 안전하고 벽면에서 작업성이 좋다는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단층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줄눈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토치 공법은 두께 4mm 정도의 개량 아스팔트 루핑 뒷면의 개량 아스팔트 층을
프로판 가스 토치 버너로 용해시키면서 바탕에 붙이는 공법입니다.
내후성, 내구성이 뛰어나고 바탕 거동에 대한 추종성이 좋으며
줄눈의 수밀성에 대한 신뢰성이 비교적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재료의 중량이 무거워 벽면에서 작업성은 나쁘지만 적절한 기계 장치를
이용하면 작업성, 안전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시트방수는 두께 1.2~2.0mm의 정도의 가황 고무계나 비가황 고무계 시트를
접착제로 바탕에 붙이는 공법이며 내후성, 내구성이 뛰어나고
신장 특성이 우수하며 바탕 거동에 대한 추종성도 좋습니다.
교면도막식방수 시공 시에는 줄눈 부분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접착제는 인화성이 있거나 독성이 있는 유기 용제를 사용한 것이 많으며
시공 시에는 철저한 환기, 화기에 대한 주의를 해야 합니다.
줄눈의 수밀성을 확실히 하기 위해 시트를 두 장 포개는 복층 공법으로 되어 있습니다.
교면도막식방수 재료는 우레탄계, 아크릴 고무계, 클로로프렌 고무계로
분류되며 지하 방수에는 재료와 시공 적성에 따라 고무 아스팔트계가 사용됩니다.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 공법은 고무 아스팔트를 두께 4mm 이상으로
도포 가능한 공법이며 내후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바탕 거동에 대한 추종성이 좋습니다.
또한 이음매가 없는 도막이기에 줄눈의 결함이 없어
수밀성이 뛰어나고 에멀션계이기에 안전, 무공해이며 습윤면에도 시공이 가능한 특징이 있습니다.
고무 아스팔트 공법은 고무 아스팔트 에멀션과 응고제를 동시에 뿜칠해
순간적인 반응으로 고무 아스팔트와 수분으로 분리해 고무 아스팔트 층을 형성합니다.
순간적인 반응으로 도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벽면에서 작업성이 뛰어난 방법입니다.
교면도막식방수 층 시공 완료 후 되메우기, 배근 작업을 하게 되기에
방수층의 보호가 필요합니다.
보호재의 종류에는 콘크리트, 모르터, 블록, 보호 완충재가 있는데
토사의 침투, 충격력, 토사의 압밀 침하로 인한 인장력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는데 사용됩니다.
밑바닥 부분의 보호는 흔히 모르터를 사용하고 외벽의 보호는
보호 완충재를 접착 공법으로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호 완충재로는 보강 클로스 붙임 폴리에틸렌 발포체나 니들 펀치법에 의한
합성 부직포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해서 지금까지 교면도막식방수 로드씰과 함께
바깥 방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더욱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