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도막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방수재 품질과 물성 시험>
[교량도막방수] 로드씰과 알아보는 <방수재 품질과 물성 시험>
안녕하세요. 교량도막방수 로드씰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방수재 품질과 물성 시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을 임의로 선별해
교량도막방수 재료의 기본적인 물성시험을 실시했으며
시공 이후의 방수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해 콘크리트와 방수재, 콘크리트, 방수재와
아스콘의 접착성능 평가를 위한 실내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방수 재료의 경우는 하지 면의 청소 상태와 하지 면의 표면수분 함량,
프라이머 도포 후 양생시간, 방수재 도포 후 아스콘 포설까지의 양생시간 등의
시공 지침을 준수해야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교량도막방수 재료의 기본적인 물성 시험과 함께 방수층의 성능 평가를 위해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하지 면의 표면 함수율과 방수재 도포 후
아스콘 포설까지의 양생 시간을 변화시켜 방수재와 콘크리트 면과의
인장접착강도, 하지면, 방수재, 아스콘의 인장접착강도 시험을 실시했습니다.
물성시험에서의 사용 교량도막방수 재료는 시트식 3종류, 도막식 5종류,
침투식 1종류, 복합식 1종류의 총 10종류를 사용했으며
시트식 방수재는 개량 아스팔트 고무 함침시트는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중심으로
외부에는 폴리머 개질아스팔트와 규사, 하부 마감제로 폴리에틸렌 필름 등을 사용해
보강된 제품으로 토치공법에 의해 시공됩니다.
개량 아스팔트고무 함침시트는 고무화 아스팔트와 아스팔트 함침 특수 부직포로
제조된 보수 전용 자착식 방수재로써 제거용 시트를 제거하고
로울러 전압에 의해 부착, 시공됩니다.
도막식 방수재의 고분자 아크릴 수지걔는 고분자 아크릴 수지계가 주성분으로써
시멘트, 전용 파우더를 혼합해 멤브레인을 형성합니다.
폴리우레탄 수지계는 주재료가 우레탄이며 주제와 경화제의 2액형으로 구성되며
이것을 소정의 배합비로 혼합해 멤브레인을 형성합니다.
클로로프렌 합성고분자계는 클로로프렌 합성고무와 특수공중합 고무를
혼합 반응시킨 합성고분자 도막 방수재로써 1,2차에 걸쳐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교량도막방수 재료 도포도 2회 이상 실시해 멤브레인을 형성합니다.
무용제 에폭시수지계는 주재료가 유연성 에폭시 수지로써 주제, 경화제의
2액형 성분으로 구성되는 100% 고형제입니다.
침투식 방수재는 무기질 실리콘계는 실리콘 발수제로 물의 침투를 거부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복합식 방수재는 AP + SBS 열가소성플라스틱 고무 + 폴리머는 아스팔트, 플라스틱 고무,
고분자 화합물, 안정재 등의 혼합물로 합성된 제품의 도막형 방수재와
폴리에스터 부직포에 동일 성분을 함침시킨 시트제품을 동시에 시공하는 제품입니다.
시험변수에서는 각 교량도막방수 재료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재료별 물성 평가 시험을
실시했으며 방수재 종류별 실시된 물성시험 항목이 있습니다.
시트식 방수재의 경우 제품화되어 있는 방수시트 자체에 대한 물성평가가 이루어졌으며
도막식 방수재의 경우에는 각 제품에 해당하는 시공시방에 준해 형성된 멤브레인을
사용해 실험이 행해졌습니다.
침투식의 경우에는 수용성의 실리콘 발수제로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침투, 경화되어 물을 억제하는 개념의
방수 작용을 하는 것이기에 도포 후 지촉건조시간과 방수액의
불휘발분 측정 시험, 흡수 시험, 내투수성 시험을 실시했습니다.
흡수시험과 내투수성 시험에서는 사용 시편의 소요재령이
최소 40일 이상이 되도록 해 실시해야 합니다.
복합식 방수재의 경우에는 도막식과 시트식 방수재 모두를 시공하는 제품이기에
도막 재료, 시트 재료 각각에 대해 시험이 실시되었습니다.
이렇게해서 지금까지 교량도막방수 로드씰과 함께
방수재 품질과 물성 시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더욱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